IT/정리&정보(89)
-
Geforce experience 게임 내 오버레이 끄기
2019.2.4 작성 최근 지포스 익스피리언스 업데이트로 인해 게임 화면에 오버레이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대개 아래와 같은 상태 표시기 오버레이가 게임을 가리곤 한다. 이런 경우 아래와 같이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를 실행시켜 '게임 내 오버레이'를 비활성화시키면 게임 내 오버레이가 사라진다.
2020.02.20 -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eudcedit)로 특수문자 만들기
2019.1.25 작성 1.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프로그램 실행 1-1. 시작>모든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 도구>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1-2. 윈도우 실행창에서 'eudcedit' 검색 후 실행 1-3. 윈도우 실행창에서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검색 후 실행 2. 특수문자 불러오기 프로그램 실행 후, 이전에 편집기를 사용해 본 적이 없다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다른 코드를 선택해도 되지만 여기선 그냥 코드 C9A1을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주겠습니다. 예시로 반쪽짜리 별 모양 특수문자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직접 원하는 모양을 도트로 찍을 수도 있겠지만 여기선 기존 별 모양 특수문자를 불러오겠습니다. '창>참조'로 특수문자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코드 2605에 별 모양 특수문자가 있..
2020.02.20 -
[네이버 메일] 메일 모두 읽음 표시로 바꾸기
2019.1.11 작성 안 읽은 메일이 너무 쌓여서 하나하나씩 정리하다가, 생각해보니 저만 이런 불편을 겪는 것이 아닐 테니 관련 기능이 있을 것 같아서 찾아봤는데, 역시나 그런 기능이 있더군요. '내 메일함' 옆에 설정 버튼을 누르면 '메일함 관리'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원하는 메일함의 '모두 읽음 표시'를 클릭하면 잡다하게 쌓인 메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른 메일 관련 설정들도 조정이 가능하니 한 번 정도는 살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0.01.27 -
[한컴오피스 한글 2014] 일본어 입력 방법
2019.1.7 작성 1. 로마자 표기법으로 히라가나 표기하기 위 스샷대로 따라하거나 또는 'ALT+F2'를 누르면 바로 아래 스샷과 같은 설정창이 뜬다. 자신이 설정을 수정한 적이 없다면 위와 똑같은 창이 뜰텐데, 이를 보면 ‘오른쪽Shift+space바’를 누르면 일본어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글자 입력창에서 ‘오른쪽Shift+space바’를 누르고 히라가나에 맞는 로마자 표기법을 적으면 로마자가 히라가나로 전환된다. ex) ‘오른쪽Shift+space바’를 누르고 kiku를 적으면 きく로 전환된다. 2. 한자 표기하기 ‘오른쪽Shift+space바’를 누르고 히라가나를 적은 후 space바를 누르면 그 히라가나와 대응하는 항목들이 여러 개 뜨는데 그중..
2020.01.19 -
[한방에] 자막 합치기
2019.1.2 작성 글 우선 '한방에' 프로그램을 네이버 다운로더 등에서 다운 받은 후 실행시킨다. 그 후 상단 메뉴에서 '파일->자막 파일 합치기'를 한다. 위 화면이 뜨면 '찾기'를 통해서 합치고 싶은 자막들을 찾아서 자막 순서대로 '추가'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스크롤을 내리면 위 스샷과 같이 파일 간에 싱크값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 파란색으로 표시돼 있는 것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이 다음 자막이 시작하는 부분이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 옆의 책을 좌클릭하면 위의 창이 뜨는데 여기서 '시작으로 선택'을 클릭한다. 그리고 상단 메뉴에서 '동영상->열기'를 한 후 동영상에서 다음 자막이 시작하는 시점의 싱크 위치값을 알아낸다. 싱크 위치값을 알아냈으면 상단 메뉴에서 '자막->싱크 일괄 ..
2020.01.15 -
[Windows Media Player] mkv코덱 문제 해결 방법
2019.1.2 작성 글 Windows 7에서는 Windows Media Player가 mkv파일을 기본적으로 인식하지 못 한다. 따라서 mkv코덱을 별도로 다운로드해서 설치해야 한다. http://www.windows7codecs.com/ 위 링크로 들어가서 위 스샷에 표시해 놓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 통합 코덱을 받은 뒤 설치하면 Windows Media Player가 mkv파일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통합코덱으로 다른 필요 없는 코덱들을 받기 싫다면, https://mkv-codec.ko.softonic.com/에서 mkv코덱만 받아 설치해도 된다.
2020.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