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저장(44)
-
베르세르크 83화 삭제 에피소드
웹서핑을 하다가 베르세르크 83화에 해당하는 삭제된 내용이라고 올라온 글을 발견했는데요, 만화를 볼 때마다 강마의식 중에 이상하게 끊긴다고 항상 생각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게 이 장면이 삭제된 탓이었네요.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7/read/2764739 베르세르크 83화. 단행본에서 삭제된 부분이라네요. | 만화 웹툰 이야기 | 루리웹 문제되는 글 아니겠죠? 어차피 단행본에 삭제된 부분이므로. 구입하신 분들 중 못 보신분들 ... bbs.ruliweb.com 댓글을 보면 뒤 내용에 대한 스포일러가 돼서 삭제됐다는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그보다는 비밀에 싸여있던 세계관을 갑자기 설명충에 빙의해서 풀어내는 것은 베르세르크라는 작품이 가진 ..
2022.06.06 -
순간접착제 뚜껑 안 열릴 때 팁
쓰다 남았던 순간접착제를 다시 쓰려고 했는데, 뚜껑을 아무리 돌려도 안 열리더라고요.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꿀 같은 게 들어있는 병뚜껑처럼 이것 역시 접착제가 뚜껑 안쪽에 굳어서 안 열리는 것이므로 펜치 같은 걸로 잡고 열면 된다던데, 제 경우는 뚜껑이 움직이기는 하는데 헛돌기만 하는 것이 다른 증상인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한참을 붙잡고 낑낑대다가 짜증 나서 포기하고 다시 다이소를 가야 하나 생각하면서 무심코 뚜껑을 잡아당겼는데, 놀랍게도 뚜껑의 겉과 속이 분리되더군요. 그 상태에서 혹시 해서 여전히 몸통에 달라붙어 있던 속 뚜껑을 플라이어로 잡고 돌리니 뚜껑 여는 데 성공! 그 뒤에 겉 뚜껑과 속 뚜껑을 합친 다음에 뚜껑을 몸통에 씌우니, 다시 정상적으로 순간접착제를 쓸 수 있게 ..
2022.04.03 -
용산역 ITX-청춘 춘천행 열차시간표
아래는 2021년 12월 16일 기준 용산역 ITX-청춘 춘천행 전철 시간표로, 21년 8월 1일 이후로 시행되고 있는 상태의 시간표입니다. 글자가 잘 안 보인다면, 사진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확대해서 보세요. 이 글은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의 글로, 정확한 정보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2.02.10 -
왕십리 수인분당선 전동열차 시간표
아래는 2022년 1월 8일 기준 왕십리역 수인분당선 하행선(죽전·고색·오이도·인천 방면) 전철 시간표로, 21년 8월 1일 이후로 시행되고 있는 상태의 시간표입니다. 글자가 잘 안 보인다면, 사진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확대해서 보세요. 참고용으로 수인분당선 노선도도 첨부합니다. 참고로 네이버 검색창에 '왕십리 수인분당선'이라고 검색하면, 왕십리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인분당선의 상행선과 하행선 전체 시간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99%95%EC%8B%AD%EB%A6%AC+%EC%88%98%EC%9D%B8%EB%B6%84%..
2022.02.10 -
용산 경의중앙선 전동열차 시간표
아래는 2021년 12월 16일 기준 용산역 경의중앙선 하행선(청량리·덕소·용문·지평 방면) 전철 시간표로, 21년 11월 1일 이후로 시행되고 있는 상태의 시간표입니다. 글자가 잘 안 보인다면, 사진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확대해서 보세요. 참고용으로 경의중앙선 노선도도 첨부합니다. 참고로 네이버 검색창에 '용산 경의중앙선'이라고 검색하면, 용산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경의중앙선의 상행선과 하행선 전체 시간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9A%A9%EC%82%B0+%EA%B2%BD%EC%9D%98%EC%A4%91%EC%95..
2022.02.10 -
[맞춤법] -기는 한데/하는데
※ -는데는 동사 뒤에, -ㄴ데는 형용사 뒤에 쓴다. ※ -기는 하는데: 뒤에 쓰인 '하다'가 보조 동사 e.g. 젊어 보이기는 하는데, 먹기는 하는데 ※ -기는 한데: 뒤에 쓰인 '하다'가 보조 형용사 e.g. 피곤하긴 한데, 젊기는 한데, 좋기는 한데, 먹고 싶기는 한데 ※ -는데 -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 <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 동사 어간 / 어미 ‘-으시-’, ‘-었-’, ‘-겠-’ > 따위 뒤에 결합. e.g. 노래는 잘 부르는데,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데, 눈이 오는데 ※ -ㄴ데 -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
2021.05.16